보건복지부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유틸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주요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날개배너1

날개배너2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KRAS G12C 돌연변이형의 국소적으로 병기가 진행된 절제 불가 또는 전이성 결장직장암 참가자에 대한 1차 치료로서의 MK-1084 + Cetuximab + mFOLFOX6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mFOLFOX6 ± Bevacizumab과 비교 평가하기 위한 제3상, 무작위배정, 라벨공개, 다기관 임상시험(KANDLELIT-012)
임상시험 의뢰자
한국엠에스디(주)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16 23층(남대문로5가, 서울스퀘어)
대상질환
Oncology
대상질환명
결장 선암종
임상시험 단계
3상
임상시험 기간
2024년 06월 ~ 2031년 09월
성별
■남 ■여
나이
□18세 미만 ■18세 이상~65세 미만 ■65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477(30)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5-08-22
최근 변경일자
2025-08-22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MK-1084
  2. 성분명
    MK-1084
  3. 의약품 제형
    필름코팅정,나정
  4. 의약품 개발사
    한국엠에스디(주)
  5. 개발사 국가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N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Y
  11. 대조약 여부
    Y
  12. 대조약 제품명
    5-플루오로우라실,류코보린,옥살리플라틴,아바스틴주(베바시주맙)
  13. 위약 여부
    N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2
  3. 대상자
    배정 방식
    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Open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MK-1084는 매일 투여하는 경구용 중재이다. 참가자에게 24시간마다 오전에 MK-1084 정제를 복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PK 분석용 검체를 수집하기로 예정된 병원 방문일에는 참가자가 투여전 PK 분석용 검체가 수집될 때까지 기다린 후 MK-1084 투여분을 복용해야 한다. MK-1084의 최대 용량은 100 mg qd po이다. MK?1084를 이용한 치료는 시험 중재 중단에 대한 기준 중 어느 하나에라도 부합하게 될 때까지 지속된다(섹션 7.1). MK-1084의 투여에 관한 세부사항을 ‘약국 매뉴얼’에 제공했다.
    mFOLFOX6는 oxaliplatin, leucovorin, 5-fluorouracil(5-FU)로 이루어진 요법이다. Oxaliplatin 85 mg/m2는 제1일에 2시간에 걸쳐 투여된다. Leucovorin 400 mg/m2(또는 levofolinate calcium 200 mg/m2)는 제1일에 2시간에 걸쳐 정맥으로 투여된다. 5-FU는 400 mg/m2가 제1일에 정맥 단기주입으로 그리고 그 후 2일 동안 1200 mg/m2/day(46~48시간에 걸쳐 총 2400 mg/m2)가 정맥 지속 주입으로 투여된다. mFOLFOX6는 2주마다 반복한다.
    Bevacizumab 5 mg/kg은 2주 간격 주기의 제1일에 정맥 주입으로 투여된다. 첫 번째 주입은 90분에 걸쳐 실시한다. 첫 번째 주입에서 내약성이 있다면 두 번째 주입은 60분에 걸쳐 실시한다. 60분에 걸친 주입에서도 내약성이 있다면 이후의 모든 주입은 30분에 걸쳐 실시한다. 내약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시험기관의 관행에 따라 주입 일정을 바꿀 수 있다.
    Cetuximab 500 mg/m2는 2주 간격 주기의 제1일에 정맥 주입으로 투여된다. 첫 번째 주입은 2시간에 걸쳐(또는 현지 표준에 따라) 실시한다.
    용량 조절은 그러한 조절이 이상사례/독성으로 인한 것인 경우에 한해 허락되는데, MK-1084에 대해서는 용량 조절 가이드라인을 그리고 cetuximab과 mFOLFOX6, bevacizumab에 대해서는 현지 치료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섹션 6.6).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1) DLT와 이상사례, 이상사례로 인한 시험 중재 중단
    2) PFS: 무작위배정 시점부터 문서화된 첫 번째 질병진행이나 원인을 불문한 사망 중 선행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1) OR: 확증된 CR이나 PR
    2) OS: 무작위배정 시점부터 원인을 불문한 사망까지의 기간
    3) DOR: 확증된 CR이나 PR이 나타난 참가자에 있어, DOR은 CR이나 PR의 증거가 처음으로 문서화된 시점부터 질병진행이나 원인을 불문한 사망 중 선행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으로 정의된다.
    4) 이상사례, 이상사례로 인한 시험 중재의 중단
    5) 다음 PRO 척도/항목에서의 베이스라인 대비 점수 변화:
    -종합 건강 상태/QoL 점수(EORTC-QLQ-C30, 29번과 30번 항목)
    -신체적 기능 수행 점수(EORTC-QLQ-C30, 1~5번 항목)
    -역할 측면의 기능 수행(EORTC-QLQ-C30, 6번과 7번 항목)
    -식욕상실(EORTC-QLQ-C30, 13번 항목)
    복부 팽창(EORTC-QLQ-CR-29, 37번 항목)
    6) 다음 척도/항목의 베이스라인 대비 악화까지의 경과 기간:
    -종합 건강 상태/QoL 점수(EORTC-QLQ-C30, 29번과 30번 항목)
    -신체적 기능 수행 점수(EORTC-QLQ-C30, 1~5번 항목)
    -역할 측면의 기능 수행(EORTC-QLQ-C30, 6번과 7번 항목)
    -식욕상실(EORTC-QLQ-C30, 13번 항목)
    -복부 팽창(EORTC-QLQ-CR-29, 37번 항목)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