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한국임상시험참여포털

유틸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주요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임상시험 정보

날개배너1

날개배너2

식약처 승인 목록
승인완료
진행성 HER2+ 전이성 유방암(mBC) 및 전이성 위, 위식도접합부 또는 식도 선암종(mGEAC) 환자 치료를 위해 단독요법 또는 다른 제제와의 병용요법 시 경구 존거티닙(BI 1810631)을 연구하는 제 1b 상 용량 증량 및 제 2 상 용량 최적화, 무작위배정, 공개라벨, 다기관 임상시험
임상시험 의뢰자
한국아이큐비아(주)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558 월드타워건물 13층
대상질환
Oncology
대상질환명
진행성 HER2+ 전이성 유방암(mBC) 및 전이성 위, 위식도접합부 또는 식도 선암종(mGEAC)
임상시험 단계
1/2상
임상시험 기간
2025년 08월 ~ 2028년 11월
성별
■남 ■여
나이
□18세 미만 ■18세 이상~65세 미만 ■65세 이상
목표 대상자 수(국내)
594(46)
임상시험 승인일자
2025-08-21
최근 변경일자
2025-08-21
의약품 정보
실시기관 정보
대상자 선정기준
대상자 제외기준
연구설계 및 수행방법
  1. 제품명
    존거티닙
  2. 성분명
    BI 1810631
  3. 의약품 제형
    필름코팅정
  4. 의약품 개발사
    Boehringer Ingelheim
  5. 개발사 국가
  6. 개발지역
    국외개발
  7. 임상시험 국가
    다국가
  8. 국내허가여부
    N
  9. 최초 사람대상
    연구여부
    N
  10. 활성대조약
    여부
    N
  11. 대조약 여부
    N
  12. 대조약 제품명
  13. 위약 여부
    N
  1. 중재군
    배치방법
  2. 중재군 수
    11
  3. 대상자
    배정 방식
    Randomized
  4. 눈가림 종류
    Open
  5. 의약품
    투여기간
    년 월 ~ 년 월
  6. 의약품
    투여방법
    존거티닙: 60mg~최대 360mg 까지 1 일 1 회(QD) 경구 투여; 트라스투주맙엠탄신(T-DM1): 3.6mg/kg 정맥 내 주입(mBC 만 해당);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T-DXd): 5.4mg/kg(mBC) 또는 6.4mg/kg(mGEAC) 정맥 내 주입; 경구 카페시타빈: 각 21 일 주기의 제 1 일~제 14 일에 1000mg/m^2 경구(PO) 1 일 2 회(BID); 트라스투주맙은 부하 용량으로
    8mg/kg 을 정맥 내(IV)로 투여하고 이후 6mg/kg 을 21 일마다 1 회 투여.
  7. 1차 유효성
    평가변수
    용량 증량(제 1b 상)
    ? MTD 평가 기간 중 DLTs 발생. MTD 평가 기간은 첫 번째 요법 주기의 첫 21 일로 정의된다.

    용량 최적화(제 2 상)
    ? 객관적 반응(OR), 이는 요법 시작일부터 질병 진행, 사망 또는 후속 항암요법 시작 전 마지막 평가 가능 종양평가 또는 요법 중단 중 가장 이른 날짜까지 시험자 검토로 평가된 바에 따라 최대 전체 반응이 RECIST 1.1 을 기반으로 확인된 완전 반응(CR) 또는 확인된 부분 반응(PR)인 것으로 정의된다.
  8. 2차 유효성
    평가변수
    용량 증량(제 1b 상)
    ? OR,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음
    ? 전체 요법 기간 중 DLTs 발생
    ? 집중적 PK 검체 채취(흐름도 3 및 흐름도 5 에 제시됨): 실행 가능한 경우, 병용 투여 시 다음과 같은 존거티닙 PK 매개변수를 평가한다.
    - Cmax,(ss): 최대 측정 농도(항정상태에서)
    - AUC0-4h,ss: 항정상태에서 0 부터 4 시간까지 시간 간격 동안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 AUC0-tz,ss: 항정상태에서 0 부터 마지막으로 정량 가능한 자료 시점까지 시간 간격 동안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용량 최적화(제 2 상)
    ? PFS, 이는 요법 시작부터 RECIST 1.1 에 따라 시험자 검토에 기반한 종양 진행 또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중 먼저 발생하는 가장 이른 날짜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다.
    ? 질병 조절(DC), 이는 첫 요법 투여부터 질병 진행, 사망 또는 후속 항암요법 시작 전 마지막 평가 가능 종양평가 또는 요법 중단 중 가장 이른 시점까지 시험자 검토로 평가된 바에 따라 RECIST 1.1 을 기반으로 최대 전체 반응이 정의되는 경우 최대 전체 반응이 CR 또는 PR 또는 안정 병변(SD)인 것으로 정의된다.
    ? 요법 중 기간 동안 존거티닙 용량 감량으로 이어진 요법 후 발생 AEs 의 발생
    ? 간헐적 PK 검체 채취(흐름도 4 및 흐름도 6 에 제시됨): 실행 가능한 경우, 단독요법 또는 병용 투여 시 다음과 같은 존거티닙 PK 매개변수를 평가한다.
    - Cmax,(ss): 최대 측정 농도(항정상태에서)
    - AUC0-tz,ss: 항정상태에서 0 부터 마지막으로 정량 가능한 자료 시점까지 시간 간격 동안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 PROs: PRO-CTCAE(구강/인후 궤양, 미각 변화, 식욕 감소, 오심, 구토, 변비, 설사, 숨참, 기침, 발진, 피부 건조, 모발 손실, 가려움, 무감각 및 저림, 피로, 코피, 두통); EORTC IL46(1 개 항목, 전반적 부작용 영향); EORTC IL19(5 개 항목, EORTC QLQ-C30 신체 기능 척도). 기간은 시험약 첫 투여부터 개별
    환자의 요법 종료 시까지이다.
  9. 최초 임상
    시험자 선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