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군 : T-DXd (5.4 mg/kg, 3주 간격 투여, 질병 진행, 허용 불가능한 독성 또는 대상자/시험자 결정에 따른 중단 시까지) 와 베바시주맙 (15 mg/kg, 3주 간격 투여, 질병 진행, 허용 불가능한 독성 또는 대상자/시험자 결정에 따른 중단 시까지) 병용 또는 비병용 투여
B 군 : 시험자 선택 화학요법 (질병 진행 또는 허용 불가능한 독성 시까지; 만일 베바시주맙을 투여하지 않는 경우 6-8주기)이다. 임상시험계획서에 명시된 시험자 선택 화학요법 옵션은 다음 중 하나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베바시주맙 병용 또는 비병용으로 투여될 수 있다: 파클리탁셀 + 카보플라틴, 젬시타빈 + 카보플라틴, 또는 페길화된 리포좀 독소루비신+ 카보플라틴. 각 대상자의 무작위 배정 이전에 시험자는 해당 대상자에게 적용할 투여 옵션을 사전 지정해야 한다.
B 군에서 질병이 진행된 경우, A군으로의 교차 투여가 허용된다.
2차 유효성 매개변수는 PFS2, OS, ORR, DOR, DCR, CBR, TFST, TSST 등이다. 반응 평가는 사용된 방법에 따라 RECIST v1.1 기준에 따라 평가된다 (필요 시 MRI 및 PET-CT 사용).
객관적 반응률(ORR): RECIST 1.1에 따른 시험자 평가를 기준으로 완전 관해(CR) 또는 부분 관해(PR)를 가장 우수한 반응으로 보인 대상자의 비율로 정의된다. 베이스라인 이후 평가 가능한 종양 평가가 없는 대상자는 비반응자로 간주된다.
반응 지속기간(DOR): RECIST 1.1에 따른 시험자 평가를 기준으로 최초로 CR 또는 PR이 문서화된 시점부터 최초로 질병 진행(PD)이 문서화된 시점 또는 PD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일로 정의된다.
질병 조절률(DCR): RECIST 1.1에 따른 시험자 평가를 기준으로 CR, PR 또는 안정 질병(SD)를 가장 우수한 반응으로 보인 대상자 비율로 정의된다. 단, SD는 무작위 배정 후 최소 7주이상 유지되어야 가장 우수한 반응으로 간주된다.
임상적 이익률(CBR): RECIST 1.1에 따른 시험자 평가를 기준으로 CR, PR 또는 SD를 가장 우수한 반응으로 보인 대상자 비율로 정의된다. 단, SD는 무작위 배정 후 최소 23주 이상 유지되어야 가장 우수한 반응으로 간주된다.
전체 생존 기간(OS): 임상시험에 등록된 날부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일로 정의된다. 분석 시점에서 사망이 확인되지 않은 대상자는 마지막으로 생존이 확인된 날짜를 기준으로 검열(Censoring)된다.
무진행 생존 기간2(PFS2): 무작위 배정일로부터 임상시험 투여 후 다음 항암 요법에 대한 질병진행 또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일 중 빠른 날짜로 정의된다. 두 번째 질병 진행일은 시험자가 기록하며, 현지 표준 진료 지침에 따라 방사선학적 소견, CA-125 또는 증상적 악화, 또는 사망 중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생존 중이며 두 번째 질병 진행이 관찰되지 않은 대상자는 두 번째 질병 진행이나 사망 없이 생존이 확인된 마지막 시점을 기준으로 검열되며, 이는 두 번째 진행이나 사망이 없을 경우 PFS 또는 PFS2 평가일 중 더 늦은 시점으로 검열됨을 의미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후속 투여 시작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TFST/TSST): 무작위 배정일부터 첫 번째 및 두 번째 후속 항암 투여 또는 사망일로 정의된다.
안전성 및 내약성은 모든 대상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평가된다:
? 이상사례(AEs), 사망, 실험실 데이터, 활력징후 및 심전도. 이상사례는 MedDRA 용어에 따라 기술되며, 시험자에 의해 CTCAE v5.0 기준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후속 투여의 반응률: RECIST 1.1에 따른 시험자 평가를 기준으로 CR 또는 PR을 가장 우수한 반응으로 보인 대상자 비율로 정의된다.